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맞춤법 오류 TOP 20 – 자주 틀리는 헷갈리는 맞춤법 완전 정복!

by 튼튼핑 2025. 3. 14.
반응형

한국어 맞춤법, 정말 헷갈리는 경우가 많죠? 🤯
"이게 맞나?" 싶어서 검색해본 적, 한두 번이 아닐 텐데요.

오늘은 국립국어원에서 발표한 자주 틀리는 맞춤법 TOP 20을 정리해 드릴게요!
이제 맞춤법 걱정 없이 완벽한 글쓰기! 


✅ 1. 되 vs 돼

 "되다"로 바꿨을 때 자연스러우면 "돼"
✔ 자연스럽지 않으면 "되"

예시:
❌ 밥 먹어도 되? → ✅ 밥 먹어도 돼?
❌ 잘될대로 되라! → ✅ 잘 될 대로 돼라!


✅ 2. 안 vs 않

 "안" = 부정의 뜻 (not)
 "않" = "아니하다"의 줄임말

예시:
❌ 밥 않 먹어 → ✅ 밥 안 먹어
❌ 공부 안해 → ✅ 공부 안 해


✅ 3. 띄어쓰기 – "할 수 있다" vs "할수있다"

✔ "할 수 있다" → 가능성을 나타낼 때 띄어쓰기
✔ "할수록" → "할"과 "수록"은 붙여 씀

예시:
❌ 너도 할수있어! → ✅ 너도 할 수 있어!
❌ 연습을 할 수록 늘어. → ✅ 연습을 할수록 늘어.


✅ 4. 맞히다 vs 맞추다

 "맞히다" → 정답을 맞히다 (정답을 고르는 행위)
 "맞추다" → 두 개 이상을 비교하여 일치하게 만들다

예시:
❌ 정답을 맞추세요. → ✅ 정답을 맞히세요.
❌ 옷 색깔을 맞혀 입자. → ✅ 옷 색깔을 맞춰 입자.


✅ 5. 왠 vs 웬

 "왠" = 왠지(왜인지) 하나만 사용!
 "웬" = "어찌 된"의 뜻

예시:
❌ 왠일이야? → ✅ 웬일이야?
❌ 왠지 오늘 기분이 좋아. → ✅ 왠지 오늘 기분이 좋아.


✅ 6. 가르치다 vs 가리키다

 "가르치다" → 교육하다
 "가리키다" → 방향을 지시하다

예시:
❌ 영어를 가리켜 줬다. → ✅ 영어를 가르쳐 줬다.
❌ 시계가 3시를 가르친다. → ✅ 시계가 3시를 가리킨다.


✅ 7. 낳다 vs 낫다

 "낳다" → 아이를 낳다 (출산)
 "낫다" → 병이 낫다 (회복)

예시:
❌ 어제 감기가 다 낳았어! → ✅ 어제 감기가 다 나았어!
❌ 그녀는 첫째 아이를 나았다. → ✅ 그녀는 첫째 아이를 낳았다.


✅ 8. 어름 vs 얼음

 "얼음" → 물이 얼어서 딱딱해진 것
 "어름" → 두 사물의 중간 지점

예시:
❌ 음료수에 어름을 넣어 주세요. → ✅ 음료수에 얼음을 넣어 주세요.
❌ 서울과 부산의 어름 지점 → ✅ 서울과 부산의 어름 지점 (O, 중간 지역 의미)


✅ 9. 금새 vs 금세

 "금세" = "금방"의 뜻 (곧, 바로)
 "금새" = 물건값

예시:
❌ 그 일은 금새 끝났어. → ✅ 그 일은 금세 끝났어.
❌ 이 신발 금세가 얼마야? → ✅ 이 신발 금새가 얼마야?


✅ 10. 되려 vs 도리어

 "되려" ❌ → "도리어"가 맞는 표현

예시:
❌ 늦게 도착했는데 되려 칭찬을 받았어. → ✅ 늦게 도착했는데 도리어 칭찬을 받았어.


✅ 11~20. 추가 맞춤법 체크!


  ❌ 틀린 표현 ✅ 올바른 표현의미
에요 예요 "이에요"의 줄임말
설레인다 설렌다 "설레다"의 활용형
왠만하면 웬만하면 "어지간하면"의 의미
안절부절 못하다 안절부절하다 "못하다" 필요 없음
넓직하다 널찍하다 크기가 크고 넓다는 뜻
오랫만에 오랜만에 "오래간만에"의 줄임말
헷갈리다 헛갈리다 둘 다 가능하지만, "헷갈리다"가 표준어
돼지우리 돼지우리(돼지 축사) "돼지우리"도 맞는 표현
예쁘게 봐줘 이쁘게 봐줘 "예쁘게"가 표준어
맛쩍다 맛적다 재미가 없다는 뜻

✅ 마무리 – 맞춤법, 어렵지 않아요!

🔹 "되다"로 바꿔보면 "돼" vs "되" 구별 가능!
🔹 "왠"은 왠지 하나만! 나머지는 "웬"!
🔹 "맞히다"는 정답, "맞추다"는 비교!

 맞춤법 헷갈릴 땐?
👉 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 사용!

이제 맞춤법 걱정 없이 완벽한 글쓰기! ✍😊
"이제 헷갈리지 말고, 바른 맞춤법을 사용해 보세요!" 🚀

👉 #맞춤법 #헷갈리는한글 #되돼구별법 #한국어문법 #자주틀리는맞춤법

반응형